꿈은 생선이다

“꿈에도 신선도가 있다.”
친구와 그런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다.
한참 고민 끝에 음악 박사 과정을 준비하던 친구는, 마침내 대학원 합격 통지를 받았다.
꿈을 향해 문이 열린 순간이었다. 그런데 정작 그 문 앞에서 친구는 이렇게 말했다.
“여기까지인가 봐.”
생각해보면 그 꿈은 20대 초반,
혹은 더 어렸을 때 마음에 품은 것이었다.
그땐 간절했고, 눈이 반짝였고, 그렇게 되고 싶었다.
하지만 30대 중반이 된 지금, 그 꿈은 여전히 빛나지만,
지금의 그는 그걸 ‘지금’의 삶 속에 데려와 살아가기가 어렵다고 느꼈다.
꿈도 생선처럼, 신선한 상태에서 맛보는 게 가장 좋다.
너무 오래 냉장고에 두면, 어느 순간부터는 그것이 나를 상하게 할 수도 있다.
나 역시 그런 경험이 있다.
20대 때 너무나 멋지다고 느낀 한 지역이 있었다.
막연히 그곳에서 살아보고 싶다는 꿈을 품었고,
십 년이 넘는 시간 끝에 결국 그 꿈은 이루어졌다.
처음에는 벅찼다.
‘드디어 나의 꿈이 이루어졌구나.’
하지만 시간이 지나며, 이방인이 바라보던 그 도시는
주민이 된 내가 마주하는 도시와는 전혀 다른 얼굴을 하고 있었다.
작은 도시, 낯선 제약들, 내가 가진 능력을 충분히 펼치기엔 불리한 조건.
그렇게 다시 십 년이 지나, 그 지역을 나오는 것이
내 다음 꿈이 되어버렸다.
그러니까,
꿈이 이루어진다는 건 항상 행복한 일만은 아니다.
이뤄진 시점의 내가, 그 꿈을 처음 꿨던 ‘그 나’와는 이미 다른 사람이 되어 있기 때문이다.

그래서 난 생각한다.
꿈은 ‘현실과 손을 잡을 때’ 비로소 나를 행복하게 해준다.
너무 높지도, 너무 낡지도 않은 꿈.
지금의 나와 함께 숨 쉴 수 있는 꿈.
돌아보면 나는
아주 높은 이상을 좇기보다는,
그때그때 마음 가는 대로 도전하고 경험하는 삶을 살아왔던 것 같다.
작은 활동들을 통해 사람들과 만나고, 나누고,
나름의 방식으로 의미 있는 일들을 해왔다.
그렇게 하고 싶었던 것들을 하나씩 해보고 나니까,
지금은 특별히 미련이 없다.
오히려 자연스럽게,
내가 가진 것 중에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걸
기꺼이 건네고 싶다는 마음이 든다.
거창한 목표보다는,
지금 나에게 주어진 하루를 진심으로 살아내는 일.
그게 어쩌면,
내가 품었던 가장 깊은 꿈이 아니었을까?
꿈이 상하기 전에,
잘 꺼내 먹을 것.
그리고 너무 오래 묵힌 꿈은,
감사히 보내줄 것.
그건 결코 실패가 아니라,
인생과의 아름다운 타협이다.
꿈은 생선이다.
가장 맛있을 때를 잘 아는 사람,
그 사람이 진짜 행복한 사람일지 모른다.